한로(寒露)는 24절기 중 열 일곱 번째 절기로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들며, 찰 한(寒)에 이슬 로(露)가 합쳐져 말 그대로 차가운 이슬이 맺힌다는 뜻입니다.
태양이 황경(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만든 황도좌표계에서 사용하는 좌표값) 195도에 달한 때로 양력으론 10월 8일 내지 9일에 들며, 음력으론 9월 무렵입니다.
실제로 한로 무렵이 되면 공기가 꽤 선선해지면서 찬 이슬이 맺히며, 본격적으로 가을의 깊이가 더해가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로의 풍습
한로는 대개 세시 명절인 중양절(重陽節)과 비슷한 시기에 들곤 했습니다.
중양절은 음력 9월 9일에 양수 중 가장 높은 수인 ‘9’가 두 번 겹친 것을 기념하는 날로 각 집에서는 예쁘게 물든 국화꽃을 따서 국화전(菊花煎)을 부쳐 먹거나 계절 음식을 준비하여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한로에는 이렇다 할 행사는 없으나 한로를 전후하여 중양절과 같이 국화전(菊花煎)을 지지거나 국화주(菊花酒)를 담그기도 하고, 온갖 모임이나 놀이가 성행하였습니다.
또한 잡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붉은 자주빛을 띄어 벽사(辟邪)의 효과가 있다고 믿는 수유 열매를 머리에 달거나, 높은 곳에 올라가 고향을 바라보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을의 마지막 두 절기인 한로와 상강에는 여름 내 더위로 잃은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고기라 하여 ‘추어’라 불린 미꾸라지로 만든 추어탕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한로의 속담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제비는 음력 3월 3일(삼짇날) 강남(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왔다가 한로(10월 8일 경)가 지나가면 강남으로 돌아가곤 했습니다.
이렇듯 한로는 봄에 왔던 철새들이 돌아가는 기준이 되는 시점이 되곤 했는데요.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제비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한다는 뜻으로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는 속담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한로는 여름새(제비)와 겨울새(기러기)가 교체되는 시기로 ‘제비가 오면 기러기가 가고, 기러기가 오면 제비가 간다.’, ‘한로 지나면 제비는 강남으로 가고, 기러기는 북에서 온다.’는 속담도 같은 의미로 생긴 속담들입니다.
‘가을 곡식은 찬 이슬에 영근다.’
한로 무렵이면 찬 이슬이 내리는데 이슬이 내린 날에는 날씨가 쾌청하여 곡식들이 잘 무르익는다는 뜻으로 ‘가을 곡식은 찬 이슬에 영근다.’는 속담은 가을에 찬 이슬이 내리면 곡식들이 단단하게 잘 여문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으로는 ‘가을바람이 불면 곡식은 혀를 빼물고 자란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한로의 날씨와 농사
한로 무렵에는 일교차가 커서 공기 중의 습기가 풀잎 등에 맺혀 찬 이슬이 됩니다.
날씨가 이렇게 점점 쌀쌀해지다가 어느 순간 밤 온도가 영상 3도 정도로 갑자기 떨어지게 되면 서리가 내리게 됩니다. 밤 사이 서리가 내리면 ‘쌩긴다.’는 표현을 쓰는데 쌩쌩하던 풀들이 마치 푹 삶은 것처럼 축 늘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농부들은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한로 무렵의 농촌에서는 타작으로 한창 바쁩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24절기 중 열 일곱 번째 절기인 한로(寒露)의 풍습과 속담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점점 쌀쌀해지는 날씨에 항상 건강에 유의하시고, 여러분들도 여름 내 지친 몸을 보양할 수 있는 보양식 꼭 챙겨드시기 바랍니다.